•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45건

)로 추증되었다. 어느 사람은 말하기를 설총이 일찍이 당나라에 가서 공부를 하였다고 하나 그런지 아닌지는 알 수 없다. 1. 설총의 생애 2. 업적 2.1 화왕계 2.2 이두 2.3 설총비결 3. 설총을 조사하며 첨부 - 三國史記 권 46 薛聰列傳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5.05.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설총은 분명 훈고학을 연구하여 구결과 이두,향찰을 집중적으로 연구, 집대성한 학자임은 분명하다. 이것은 바로 우리 선인들의 문자생활을 조금이나마 윤택하고 편리하게 만들었으며, 또한 그 전통은 오늘날에도 이어져 우리의 정신세계를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5.10.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서지체(吏胥之體)’라고도 불렀다. 훈민정음 창제 후 이두는 그 존재가치를 상실했다고도 볼 수 있다. 이것이 훈민정음 이전부터 써내려오던 관습으로 인하여 사용되어 오다가 사회적으로 서리계층이 형성되면서 그들의 문어로 굳어져 19세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0.04.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설총이 이두의 창시자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설총보다 백여 년이나 앞서 진평왕 13년(591)에 건립된 경주 남산신성비(南山新城碑)에서 이두식 표기의 완연한 흔적을 찾아볼 수 있는 것으로 보아 사실이 아니며 설총은 누구보다도 먼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6.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이두의 설총제작설은 〈서동요〉·〈혜성가〉의 제작연대 및 경주 남산 신성비(591)의 예와 설총이 신문왕대(681~691)에 활약한 사람이라는 사실로 보아 인정하기 어렵다. (예)必于 七出乙 犯爲去乃 三不出有去乙 비록 칠출을 범하거나 삼불출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