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균을 여과한 다음 건강한 사람에게 투여했을 때 설사가 유발된다는 것을 증명하였지만 원인 바이러스를 분리하지 못하였다. 결국 1972년 Kapikian은 Norwalk지방의 집단 설사발생에서 대변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바이러스 입자를 관찰하였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분리·동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韓京大學校 産業大學院, 2005. 경기도
http://www.riss.kr/link?id=T9992021
2) 유동조. \"유산균과 생효모의 급여가 산란생산성, 영양소이용성, 분내 NH₃gas 발생 및 장내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국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2.08.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세균이 발견되었다. 또한 간호원의 손 오염에 대한 세균학적 연구 등의 결과에서 간호원의 손을 위생적으로 세척할 시 미생물의 감염을 감소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미용실에서 사용하는 도구에서의 세균의 분리ㆍ동정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4.04.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분리동정하는 것이 확진방법이다. 치료는 수액요법 및 항생제(ampicillin, chloramphenicol, ceftriaxone, quinolone 등) 사용이다.
4. 환자 및 접촉자 관리
환자는 장내 배설물 격리를 시행하고 격리기간은 항생제 치료 종료 48시간 후부터 24시간 간격으로 3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 이 반응 동안 배지는 alkaline으로 된다. 생성된 carbon dioxide가 물과 sodium과 결합하여 alkaline인 sodium carbonate를 만들기 때문이다. Sodium carbonate의 존재는 배지에 있는 bromothymol blue indicator를 green에서 deep Prussian blue로 바꾼다. 배양 후 slant 표면에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06.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