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과 풍년을 기원하는 대보름 명절
3. 봄철의 세시풍속과 양기가 왕성한 날의 단오명절
4. 가을철의 세시풍속과 추수감사제로서의 추석명절
5. 겨울철의 세시풍속과 작은 설인 동지
6. 농업을 중심으로 체계화된 생산력과 세시의례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0.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변질시키는데 최선의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소위 문화통치를 표방하면서, 우리의 풍속을 迷信행위이며 낭비성이 많은 것이라 貶下하였다. 그들은 정월 명절행사는 물론, 단오 등 각종 세시행사에서도 반드시 무당의 굿을 허락‘강요’하였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2.10.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세시풍속기, 집문당
◎ 국립민속박물관(1997), 한국의 세시풍속, 서울 : 국립민속박물관
◎ 장정룡(1994), 세시풍속, 한국민속학의 이해, 문학아카데미
◎ 최상수(2003), 민속학술자료총서 세시풍속, 우리마당 터
◎ 최운식 외(2002), 한국 민속학 개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명절음식>, 대원사
(3) 궁중음식연구원 - http://www.food.co.kr
(4) 네이버 검색과 이미지, 오픈사전, 지식in - http://www.naver.com
(5) 명절음식소개 - http://www.banchan.co.kr/festive_day_1/no.htm
(6) 세시풍속과 음식 - http://my.dreamwiz.com/mylee2000
(7) 이혜숙의 명절
한국 음식, 명절 추석, 한국의 명절음식 (설, 대보름, 단오, 추석, 한식, 유두, 삼복, 동지의 유래, 세시풍속, 음식),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3.1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정월대보름(대보름)의 어원과 유래
Ⅱ. 정월대보름(대보름)의 풍속
1. 부럼과 귀밝이술(茶禮)
2. 오곡밥(省墓)
3. 보름나물(묵은나물)
4. 달맞이
5. 더위팔이
6. 농점(農占)
7. 제의(祭儀)와 놀이
Ⅲ. 정월대보름(대보름)의 시절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