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도의 정의
본론
1 다도와 선종
2 일본 다도문화사
3 다도의 완성 쥬코우와 센노리큐의 등장
4 다도속에 나타난 일본인의 미의식 -와비사상
결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9.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센노리큐(千利休)에 의해 완성되었다.
맛차(抹茶, まっちゃ)라는 분말 형태의 정제된 찻잎을 다기에 넣어 뜨거운 물을 붓고 대나무로 된 막대로 저어서 거품을 내어 마신다.
현재 일본에서는 신부수업의 한 과정으로서 행해지고 있다.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12.1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센노리큐(千利休)는 다도가 추구하는 미의식, 즉 와비(わび)의 발견과 양식화에 노력하여 다도를 확립시켰다. (와비란 고요하고 차분한 가운데 느끼는 소박하고 여유로운 멋.)
이후 그의 제자들에 의해 새로운 유파가 형성되면서 다도는 크게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큐(千利休)의 사규(四規; 和·敬·淸·寂)란 바람직한 다실의 분위기, 다도의 목표. 이상적인 다회를 진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이 바로 ‘칠칙(七則)’이다.
1. 부드러운 감수성과 느긋한 마음으로 준비해 맛있는 차를 만들어라
2. 목탄을 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8.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