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득인정액’이란 개별가구의 소득평가액과 재산의 소득환산액을 합산한 금액이고(제2조 7호) ‘개별가구의 소득평가액’이란 개별가구의 실제소득에도 불구하고 보장기관이 급여의 결정 및 실시 등에 사용하기 위하여 산출한 금액(동조 8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8.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동인, 2010 I. 개별가구
II. 개별가구의 소득평가액
1. 실제소득
2. 소득평가액의 산출
3. 재산의 소득환산액
1/ 개별가구 재산의 범위
2/ 재산가액의 산정기준
3/ 재산의 소득환산액 산출방법
4/ 최저생계비의 결정
* 참고문헌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9.10.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득인정액 개념의 폐기
현 기초보장제도에서 선정과 급여에 영향을 미치는 소득인정액 개념은 소득평가액과 재산의 소득환산액의 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급여체계가 욕구별 급여제도로 분리되게 되면, 소득평가액에서 의료비나 주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03.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시에 운영되기 시작한 것으로 소득인정액은 다시 소득평가액과 재산의 소득환산액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남겨진 과제로는 소득평가액의 소득 인정범위, 재산의 소득환산액에서는 재산의 소득환산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쟁점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4.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득층에 의한 기초생활보장 으로서 자활지원서비스의
체계적 지원을 통한 '생산적 복지'를 구현 하고 있다.
수급자 선정기준으로는 소득인정액(개별가구의 소득평가액+재산의 소득환산액)이 최저생계비
(1인가구 490,845 / 2인가구 835,7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3.17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