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啼,其亦取此義乎?)
전을이 등화를 사용하여 야제를 치료하니 그것이 또한 이 뜻을 취함이 아니겠는가?
(我明宗室富順王一孫,嗜燈花,但聞其氣,哭索不已。)
우리 명나라 종실의 부순왕의 한 자손이 등화를 즐겨서 그 향기를 얻으면 곡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6.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아경기, 불면증, 월경부조, 월경통, 고혈압, 폐경, 두통, 정신병, 전간
o 유토혈-태충(太衝)
위치 : 첫째와 둘째 발몸뼈 위쪽 접합 부분 밑 오목한 지점.
주치 : 두통, 협통, 월경부조, 소아경풍, 고혈압, 현훈, 유선염, 산기, 복창
o 경금혈-중봉(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0.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아가 만경풍과 두진 뒤에 기허와 궤양과 장육등의 증상은 인삼을 투여하면 효과가 곧 나타나지 않음이 없다.
惟不利於肺家有熱,咳嗽吐痰,吐血血,骨蒸勞,陰虛火動之候。
오직 인삼은 폐병환자에 열이 있고, 기침과 담을 토하며, 토혈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8.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아의 장부는 어리고 아리따우며(小兒因臟腑嬌嫩), 기혈이 아직 충만하지 못하였음으 로(氣血未充), 만일 놀라고 두려움을 받게 되면(故若受驚恐), 가장 쉽게 심과 담의 기를 상하게 되어 (則最易傷心膽之氣), 기와 혈이 서로 떨어져 흩어짐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4.12.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아경풍, 의식을 잃었을 때, 경련, 팔다리 짖전 등에 쓴다. 주로 이기활열(理氣活熱), 청열진경(淸熱鎭驚) 작용이 있으므로 기체어혈(氣滯瘀血), 열증(熱症), 경련 등이 있는 모든 증상에 쓴다.
Ⅳ. 결 론
살펴본 바와 같이 경락은 인체를 통일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