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전 사람이 인삼노두를 사용하여 용토케 함은 약성이 상승하여 보하는 중에 사성을 가지니 이 뜻은 앞 사람이 아직 발견치 못함이니 자주 시험하여서 기록하게 되었다. 甘草 감초
黃耆 황기
人參 인삼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8.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삼은 약성이 아래로 발설을 주치하니 자완, 당귀미가 어혈을 깨는 뜻과 서로 같으니 활탈에는 금기한다.
參蘆功主上湧, 氣虛火炎亦忌。
인삼노두는 공로가 주로 위로 용솟음치니 기허로 화가 불타면 또한 금기한다.
但體虛痰壅, 用之可代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09.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황기 노역병열심자일전.
황기 노역병으로 열이 극심한 환자는 4g
甘草炙已上各五分
감초자이상각오분.
구운 감초 이상은 각각 2g.
人蔘去蘆 升麻 柴胡 橘皮 當歸酒洗 白朮已上各三分
인삼 거로 승마 시호 귤피 당귀주세 백출이상각삼분.
노두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3.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할 수 있으니 몸이 허약인이 사용할 때는 과체로 대신한다.
(丹溪曰人參入手太陰、補陽中之陰。)
주단계가 말하길 인삼은 수태음경에 들어가서 양중의 음을 보한다.
(蘆反能瀉太陰之陽,亦猶麻黃根、苗不同。)
노두는 반대로 태음의 양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 석현, 석호유는 즙을 낸다.
離草
이격초
(汁。)
이격초는 즙을 낸다.
附子尖 土瓜根 及己 苦參 地松 羊 紫河車 虎耳草 芭蕉油 蘿蔔子 苦瓠 瓜 苦茗 烏梅 酸榴皮 梨汁 桐油 莢 梔子 相思子 松蘿 熱湯 水 鹽鹵水 石綠 石靑 石膽 白靑 砒石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