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參,向以上黨爲貴,今則以吉林野參爲上,其次則以吉林種參、高麗參皆功倍黨參。)
인삼은 상당것이 귀하나 지금 길림야생인삼이 최상이며 다음은 길림성의 파종한 인삼이며 고려인삼은 모두 공로가 당삼의 배이다.
沙參
사삼
補陰,瀉肺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삼 사용이 마땅하다.
非若黃耆 性稟純陽, 陰氣少, 而於火盛血燥不宜。
인삼은 황기가 성품이 순양을 받아서 음기가 절대로 적고 화가 치성하며 혈이 건조하여 의당치 않음과 같지 않다.
沙參 甘淡性寒, 功專瀉肺, 而補少。
사삼은 감미 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09.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參 煎服。)
대황은 사람이 갑자기 숨참이 급하고 답답하여 끊어지려고 함과 침이 나오고 토역하며 치아가 동요함을 상한병열이라 이름하니 인삼과 함께 달여 복용한다.
天門冬
천문동
麥門冬
맥문동
黃芩
황금
沙參
사삼
前胡
전호
藎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4.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參)
고심 지모 사삼
日及(木槿 扶桑)
일급 목근 부상
(말오줌나무, 바곳 급; 艸-총8획; j)
(菫 烏頭)
급 근 오두
烏犀(犀角 莢)
오서 서각 조협
(침나무 침; 木-총11획; cen)
木(桂 又木名)
침목 계 우목명
大靑(大靑草 扁靑石)
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400원
- 등록일 2007.0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參,雖無甘溫峻補之功,有甘平肺之力,亦不似沙參之性寒專泄肺氣也。
산서 태행산에서 산출된 인삼을 상당인삼이라고 이름하며 비록 감미, 온기로 세게 보하는 공로가 없으나 감미, 평기로 폐를 맑게 하는 힘이 있으니 또한 사삼의 약성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8.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