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정의 천리론 연구,”『중국과 중국학』제9호(2009).
김수청, “정호와 정이의 수양론 천리와 인성 그리고 경의문제,”『철학논총』제10호(1994).
허남진, “장재의 기일원론과 임성주의 기일분수설,”『한국문화』제43호(2008). 없음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4.09.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재의 기일원론과 임성주의 기일분수설,”『한국문화』제43호(2008). 장재(張載 1017-1077)
장재의 ‘기(氣)’
장재의 사상
천인합일(天人合一)
인성론(人性論) 및 수양론(修養論)
소결
이정(二程)
이정의 ‘이(理)’
인간과 세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9,660원
- 등록일 2014.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재 등의 서적을 여조겸과 함께 읽고 662조에 달하는 언행을 모아서 《근사록》14권으로 정리했다.
《논맹집주》
《논어집주》와 《맹자집주》를 합하여 만든 것인데, 과거에 이미 내놓았던 《논맹정의》를 토대로 하여 연구를 거듭해 저술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8.04.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송학(宋學)에 대한 반발과 반청(反淸)감정, 시대의식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일어났다. 송학이란 이름에 맞서서 이를 한학(漢學)이라고도 불렀다. 학문 방법은 매우 치밀하고 꼼꼼하게 글자와 구절의 음과 뜻을 밝히되 고서(古書)를 두루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0.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송학(宋學) 즉 주자학(朱子學)과 명학(明學) 즉 양명학(陽明學)을 정점(頂點)으로 하는 시대이다. 제4기는 청말 아편전쟁 이후로, 서양세계의 충격에 의해 전통사상이 근본적 변혁을 강요당하며 지금의 중국 철학으로 발전되어 내려오게 된 것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08.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