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혈량 쇼크(hypovolemic shock): ABCD외에 지혈, 수혈/수액을 공급
(1) 기도개방 유지, 산소 투여 (6-10리터/분 nasal prong, mask, ntubation).
(2) 체위 : 다리 올림 (Never Trendelenburg position, (Lithotomy position -ok)
(3) Cardiac monitoring, 12-lead EKG
(4) I-V line 개방 유지 : start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9.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쇼크
1)저혈량성 쇼크(Hypovolemic shock)
혈량손실: ①위장관계 수분상실.
절대혈량 감소.
②상대적혈량 감소.
(절대적으로나 상대적으로나 감소되더라도 생리적 결과는 유사하다.)
-혈량감소 → 심장으로 귀환하는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1.07.23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저혈량성쇼크 hypovolemic shock
저혈량성 쇼크는 혈액이나 체액의 손실이 있을 때 나타난다.
혈량이 감소하면 그 결과 심장으로 귀환되는 정맥혈량이 감소되어 전부하 감소, 일회 심박출량 감소, 심박출량 감소를 초래하며 이어서 조직관류
|
- 페이지 3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8.03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쇼크의 초기에 필수적이다. 이는 우심방(들어오는 피의 혈류량 측정)의 압력을 측정하여 우측 심장의 기능을 사정하는 것으로 만약 중심정맥압에 변화가 있으면 우측 심방으로의 정맥귀환혈량의 변화를 알 수 있다. CVP선은 쇄골하정맥이나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0.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혈량을 유치할 수 없을 때
(1) 분할 혈장단백
저혈랴성 쇼크시 혈장량 확장 및 교질 삼투압 증가
(2) 알부민
혈장교질 삼투압 증가 및 혈장량의 신속한 팽창
(3) 기타- 혈장 및 혈장대용 물질, 산소를 운반하는 용액, Hetastarch
2) 혈장 확장제
(1) 덱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5.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