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량사구의 유형적 고찰, 어학연구 제19권 제1호, 서울대 Ⅰ. 환경관심도의 수량화
Ⅱ. 국어의 수량명사
Ⅲ. 벼의 분얼과 수량형성연구
Ⅳ. 토양의 함수량측정연구
1. 실험방법
1) Gravimetric Method
2) TDR(Time-Domain Reflectometry) Method
2. 실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명사구는 더 이상 비한정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선행 성분을 총괄하는 역할을 하는 부사 ‘都’가 수량 명사구에 한정적 해석을 부여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都’에 의해 출현이 가능해진 지속을 나타내는 수량 명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a shoal of fish 물고기 한 마리
a shower of rain 한 차례의 소나기
a slice of bread [cake, cheese, ham]: 빵[케이크, 치즈, 햄] 한 조각
a sliver of cheese 작고 긴 조각 치즈
a spoon of sugar 한 스푼 설탕
a spoonful of sugar[salt] 한 스푼의 설탕[소금]
a spot of trouble 약간의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8.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명사+수량사+묘사성+명사:小的那一新的自行), 把자문, 겸어문, 연동문 등의 어순, 각종 보어와 관련된 어순 등을 수업에서 다룰 때마다 어순을 정확하게 이해시키는 것은 중요하다.
보통 외워야 할 한자가 많아서 중국어를 배우기 힘들다는 인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명사구는 고유명사이고 (4)의 명사구는 지시사 ‘這’를 포함하고 있으며 (5-6)은 수량 명사구인데 그 지시물의 존재를 화자가 이미 알고 있으므로 지시적인 것으로 해석된다. (7)에서는 수식어가 전혀 붙지 않은 명사구(bare NP)가 동사‘나’의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9.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