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복(成服)
(5) 조문(弔問)
(6) 장례(葬禮) - 발인(發靷)ㆍ치장(治裝)
(6)-2. 치장
(7) 흉제(凶祭)
*참고문헌 (1) 초종례(初終禮)
(2) 습(襲)과 렴(殮)
(3) 혼백(魂帛)․ 영좌(靈座)
(4) 성복(成服)
(5) 조문(弔問)
(6)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6.06.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복(成服)
2. 국장의 제2단계인 성복이후 천전까지
1) 복제(服制)
2) 사위(嗣位)
3) 반교서(頒敎書)
4) 고부청시청승습(告訃請諡請承襲)
5) 조석곡전급상식(朝夕哭奠及上食)
6) 삭망전(朔望奠)
7) 의정부솔백관진향(議政府率百官進香)
8) 치장(治葬)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1> 조문의 시기
고례(古禮)에는 조문하는 시기에 3단계가 있었다.
① 염습하고 상주들이 복을 입는 성복(成服) 전에는 영좌에 조상도 않고 상주에게
문상도 않으며, 다만 호상소(護喪所:초상 치르는 일을 맡아보는 곳)에 인사한다.
(요즈음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400원
- 등록일 2013.10.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복(成服)
성복은 대렴 다음날 한다. 장례 복장, 즉 상복에는 혈연관계의 친소(親疏)에 따라 참최(斬衰), 재최(齊衰), 대공(大功), 소공(小功), 시마(媤麻)가 있다. 또 상복을 입는 기간도 3년, 1년, 9개월, 5개월, 3개월 등이 있다. 이들 성복은 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복(成服)
입관이 끝나고 영좌를 마련한 뒤 상제(喪制)와 복인(服人)은 성복을 한다. 성복이란 정식으로 상복을 입는 다는 뜻이다. 요즘은 전통 상복인 굴건제복을 입지 않고 남자는 검은 양복에 무늬 없는 흰 와이셔츠를 입고 검은 넥타이를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8.1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