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여 실험을 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이 경우 인간과 동물의 차이점에 대하여 다시 한 번 짚고 넘어가야 하겠고, 동물을 통하여 얻은 결론을 인간에게 섣불리 확대 해석하여 적용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 하겠다. 실제로 아무리 인간과 가까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07.08.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을 보고. 깊이지각은 생득적인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에 반하여 Cam-pos 등(Bertenthal & Campos, 1990: Campos et al . 1978)은 고양이나 토끼와 같은 종의 새끼는 생후 수주일이 지나야 시각벼랑 지각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이 능력이 학습된 것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각벼랑 실험을 통해 영아에게 깊이 있는 지각이 있음을 증명해야 한다. 그 예로 시각벼랑실험을 들 수 있다.
3) 그 밖의 감각과 지각의 발달
① 청각
소리가 나는 근원을 찾으려는 반응처럼 영아의 듣는 능력은 보는 능력과 동시에 발달한다.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2.04.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름.
3개월경 사람의 얼굴을 다른 형태보다 선호하고 친숙한 얼굴을 더 선호함
3개월경 영아는 서로 독립적인 물체를 하나의 통합된 형태로 지각함.
(2)깊이지각
시각벼랑실험으로 영아는 낭떠러지를 지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것을 알게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5.04.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을 들어 이러한 능력은 생득적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Campos(1981) 등은 어떤 종의 동물의 새끼들은 생후 몇 주간의 시각적 경험을 가진 후에야 시각벼랑 회피반응이 나타난다는 사실에 의해 이러한 능력이 학습된 것이고 주장한다.
*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9.03.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