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의 기능을 이어받은 은척(銀尺), 진의 기능을 이어받은 진척(津尺) 등이 존재하였다.
【참고문헌】
강만길, 「商業과 對外貿易」『한국사 5』, 국사편찬 위원회, 1975.
안병우,「고려시대 수공업과 상업」『한국사』6, 한길사, 1994.
서성호,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고,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09
김태우 / 남북화해 시대 주한미군의 위상과 역할, 경기대학교 통일안보연구소, 2001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 / 남북화해협력시대 통일운동의 전개방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2000
이기현 / 남북화해시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대를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회
◈ 김동명(2006), 일본사 개설서 및 사전류의 한일관계 서술의 문제점, 한일관계사학회
◈ 김성규(2011), 일본사 속의 한국 이미지 소고 : 허상과 실상의 사이, 역사교육연구회
◈ 문정창(1989), 고대일본사 : 한국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국의 소황제(小皇帝)
-1979년 덩샤오핑이 실시한 '한 가구 한 자녀 정책' 후 태어나 황제처럼 자란 외동 아이
- 개성이 강하고 소비욕구가 강한 세대, 향후 10년간 중국 소비를 주도할 것으로 예측
-경제적 기반을 가진 부모의 과보호 속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12.14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대 노동수단의 역사적 성격을 살펴보자. 조선전기의 주요한 역축은 바로 소였다. 조선전기 재지사족층의 농장경영에 사용된 대농법을 주로 기술하였던 농사직설에서는 반드시 두 마리의 소가 한 셋트로서 작업에 동원되었을 정도로 풍부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