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 차>
1. 머리말
2. 시조 수록 가집의 시대별 분류
3. 사설시조에서 평시조로의 텍스트 변형
(1) ‘취흥’과 ‘애정놀음’에서 보이는 텍스트 변형
(2) ‘사설시조의 형식적 틀’-> ‘평시조의 형식적 틀’에의 영향
4. 맺음말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0.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조에서도 이와 아울러 평시조에서 변형된 장형시조 즉 사설시조가 성장하였다. 물론 장형시조가 그 전대에 없었던 바는 아니지만 이 시기에 와서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참고문헌>
김학성, 2004, 고전시가론, 새문사
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6.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변형 계승설이 가장 타당해 보였다. 그리고 시조의 발생시기에 있어서는 고려말엽에 이르러 시조 작자가 대거 등장했다는 점과 그 당시의 작품이 많이 남아있다는 점을 근거로 보아 '고려말엽설'이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었다.
참고문헌
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03.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조
이병기의 난초 연작시나 이호우의 현대시조를 제시한다. 난초는 고시조와 비슷한 소재를 놓고 바라보는 관점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기에 적합할 것이고, 이호우의 시조는 같은 형식을 연별로 변형하였다는 데에서 공통점과 차이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8.06.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조(兩章時調)
초장과 종장만으로 된 시조. 이은상이 시도했으나 요즈음에는 이런 시형으로 짓는 이는 거의 없다.
6. 단장 시조(單章時調)
평시조를 더욱 압축하여 초중장을 제쳐놓고 종장만으로 시조의 맛을 내게 하려는 시조의 변형이다.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