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탕에 대황을 더하고 구역하면 생강즙을 더한다.
有痰하면 去地黃 加半夏하고, 肌熱엔 加柴胡 葛根하라,
유담하면 거지황 가반하하고 기열엔 가시호 갈근하라.
담이 있으면 구미강활탕에서 생지황을 제거하고 반하를 더하고 살갗 열에는 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탕에서 인삼을 제거하고 후박을 더하며 지각을 배로 한다.
小便이 頻數하면 加茯 澤瀉하고, 嘔하면 加竹茹하라,
소변이 빈삭하면 가복령 택사하고 구하면 가죽여하라.
소변이 자주보면 삼호작약탕에 복령과 택사를 가미하고 구토하면 죽여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호청간탕은 혹은 일포열로 먹지 못하여 한열이 왕래하고 구토 설사하는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황련소독음
내탁강활탕
백지승마탕
내탁승마탕
십미중화탕
팔미소요산
내탁기시탕
부자육물탕
내탁주전탕
사심탕
호심산
용담사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탕이오.
표증이 많은 환자는 지모마황탕이요.
半表(裏)者는 小柴胡湯과 溫膽湯이오.
반표리자는 소시호탕과 온담탕이오.
반표반리는 소시호탕과 온담탕이요.
餘熱不解者는 參胡芍藥湯이오.
여열불해자는 삼호작약탕이오.
남은 열이 해소하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6.0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황련을 더한다.
春溫時行에는 加生地 升麻하라.
춘온시행에는 가생지 승마하라.
봄의 온병 유행에는 화해산에 생지황과 승마를 더한다.
溫에는 加常山 檳이니라.
온학에는 가상산 빈랑이니라.
온성 학질에는 상산과 빈랑을 더한다.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