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민지 산업화와 해방후 산업화의 연관성 비교-」,『역사비 평』48, 1999.
목 차
머리말 - 식민지 근대화론의 개괄
본론
1. 농업
1.1 소농사회의 전개와 변화, 식민지기의 의의
1.1.1 소농사회의 개념과 중세적 특질
1.1.2 한국에서의 소농사회의 성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3.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의 역사』, 역사비평사, 2000
- 강만길,『고쳐 쓴 한국현대사』, 창비, 2006
- 김용섭,『한국근현대농업사연구』, 지식산업사, 2000
- 김인호,『태평양 전쟁기 조선 공업연구』, 신서원, 1998
- 김인호,『식민지 조선 경제의 종말』, 신서원, 2000
-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7.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식민지체제 기초공작기의 공업정책(1910년대 식민지공업의 생성기)
2. 식민지체제 확립기의 공업정책(1920년대 식민지 공업의 성장기)
3. 침략전쟁기의 공업 정책(1930년대 이후 식민지군수공업의 건설기)
Ⅱ. 민족공업의 존재양식
Ⅲ. 정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7.0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식민지기의 인적자원의 축적에 대해서는 부정적
두가지 점 지적 가능. 비록 한정된 것이기는 하나 기술교육 또는 공업교육이 확대, 초등교육 확대의 의의를 과소 평가
식민지공업화의 진전이 양질의 노동력을 수요하게 된 것이 초등교육 확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0원
- 등록일 2010.06.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식민지 근대화론 논쟁의 비판과 21세기 신근대사론의 모색> 서 론 : 일제하 사회성격 해명의 의의와 접근 방법
본 론 : 일제강점기 사회성격론 논쟁들의 성과와 비판
1. 1930년대의 사회성격논쟁
2. 해방후의 일제하 사회성격 연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