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학사적인 고찰이다.
[이론편]에서는 훈민정음 본문의 해설, 한글의 자수 및 차례의 변이, 병서론, 한글의 기원, 한글의 세계문자상의 지위, 비교정음학 등으로 나누어 과거의 모든 연구업적을 소개 비판하였다.
5. 외국인의 연구
개화기 이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11.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국어학사, 1964.
4. 강신항, 한글은 어떻게 만들었는가, 한글사, 1996
5. 권재선, 훈민정음 창제와 세종대왕, 한글사, 1996
6. 리홍매, 훈민정음 친제설과 비친제설, 중국조선어문 1997년 제6호. Ⅰ. 서론
Ⅱ. 본론
1. 훈민정음 창제가 세종의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9.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학은 비로소 국어학 연구가 자리잡은 시기이다.
(가) 국어학 연구의 자리 잡음 : 개론서 출간
국어학 개설서에는 먼저 <신국어학개설>이 있는데, 서정수, 전재호, 김종택, 박병채, 조규설, 박은용, 황희영이 공동집필하였고, <국어학개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국어학사』,일조각, 1964
김형주, 『국어학사』, 학문사, 1981
김종운, 『국어학사논고』,집문당, 1986
박동규, 『국어연구사』, 전주대학교출판부, 1998 1.최세진의 생애
2.최세진의 저술
1)사성통해
2)훈몽자회
3)노걸대언해
4)박통사언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2.06.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학편. 국어국문학회. 1994.5
◎국어학 연구. 한국어학회. 태학사. 1994.10
◎국어학사. 박종국. 문지사. 1994.12
◎국어학의 이해. 최전승 외. 태학사. 1999.3
◎신국어학사. 김민수. 일조각. 1997.1 Ⅰ. 머리말
Ⅱ. 국어학의 통시론적 분류
1.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3.04.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