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압 차이)
● extracellular recording (세포외 기록)
A. Depolarization (탈분극) and Repolarization (재분극)
B. 심전도의 유도 (Electrocardiographic leads)
1. 표준지 유도 (Bipolar standard leads)
2. 단극지 유도 (Unipolar limb leads)와 증폭된 단극지 유도 (Augmented limb
|
- 페이지 3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3.10.3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압이 더 많이 나타날 뿐 아니라 활동전압이 좀 더 짧아지고 좀 더 짧은 불응기를 가지게 된다. 심박동수와 불응기의 관계에서, 심박동수의 증가는 부정맥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심박동수가 증가하고 불응기가 짧아지면 심근세포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5.03.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세포-세포를 교통반(gap juction)에 의해 연결
활동전압에 의한 국소전류가 직접 다음 세포로 전달 ex] 심근, 일부평활근 ..
- 화학적 시냅스 : 신경전달물질이 특수화된 막 단백질 수용체에 작용
☞ 흥분성 ; na+, ca++ 통로 활성화 ex] gliramate
☞ 억제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심근의 근수축기전
골격근과 기본 기전은 같다. 그러나 긴 활동전압 때 T-tubule의 긴 저분극이 생기고 이 때 칼슘의 유입으로 CICR이 발생한다. 증가된 칼슘이 수축하는 기전은 골격근과 같다. 증가된 칼슘은 세포막, SR의 칼슘펌프와 Na/Ca exchange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세포 활동이 감소
경미한 고마그네슘혈증: 말초혈관 확장되어 저혈압, PR간격 QT간격이 길어짐
심한 고마그네슘혈증: 신경근계에 진정시키는 효과, 근육허약, 기면, 졸음, 심부ㅜ건반사의 감소, 호흡마시, 의식 잃을 수 있다.
심근전도가 느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