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방중격 결손(Atrial septal defect:ASD)
1)원인
2)임상증상
3)진단적사정
4)치료적 관리
5)합병증
2. 심내막상 결손(Endo-cardial Cushion Defect, ECD)
1)원인
(1)1차공 결손
1)임상증상
2)진단적 사정
3)치료적관리
(2)공통 방실 판구
1)임상증상
2)진단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5.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심실로 혈액이 단락되는 통로가 형성된 경우이다. 임상증상은 대개 결손의 크기와 단락을 통한 혈류량에 따라 다양하다.
ASD
(심방중격결손)
양쪽 심방을 막고 있는 심방 중격에 결손이 있는 경우이다. 난원공 개존, 2차공 결손 및 심내막상 결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10.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심방의 불포화된 혈액과 섞이 게 하여 우심실과 폐로 흐르도록 하고 동맥관은 혈액을 대동맥으로 흐르게 하 여 체순환으로 유입되게 한다.
- 임상증상 : 출생 1주 이내에 청색증과 CHF증상, 심혈관 허탈 폐혈류 증가를 갖는 결손
1. 심방중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심실 유출로의 협착이나 우심실 양분증의 생긴 경우 수 술
결손을 통해서 좌심실 우심방으로 직접 혈류가 샐 경우 수술
심내막염을 앓은 과거력이 있는 경우 심내막염의 치료가 끝난 후 수술 병태생리
종류
증상
합병증
자연경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10.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은 주로 우심보다는 좌심에서 더 흔히 발생한다. 후천성 심장판막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은 류마티스열이며, 그 외에 세균성 심내막염, 선천적 결함 등이 있다. 판막질환으로는 승모 판막 협착증, 승모판막 폐쇄부전증, 대동맥판막 협착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