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영술, CT, MRI 등을 시행한다.
4. 치료: 증상이 심하면 수술을 하여 압박 증상을 완화시켜야 한다. 1.심방중격결손
2.심실 중격결손
3.방실 중격결손
4.동맥관 개존증
5.폐동맥 협착증
6.대동맥 축착
7.대동맥 협착
8.혈관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1.07.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심방에서 많은 좌우단락을 볼수있음.
- 선택적 좌심실 촬영법을 하면 승모판 폐쇄부전과 좌심실 유출로의 거의 목모양 볼수있음.
3)치료적 관리
- 영아기 심방미치 심실중격결손을 폐쇄하며 방실 판막 성형술을 시행
- 수술하지 않을때에는 1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5.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실차단, 잔여 우심실로협착 등도 위험인자로 보고되고 있다.
11. 특이사항
(1) 심방전환수술 후 합병증
상대정맥협착은 Mustard 수술 시 더 자주 나타나고 5-10%에서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 심방중격위치에서 발생하고 10mmHg이상의 압력차가 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4.0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심방중격 결손 (Atrial Septum Defect : ASD)
2. 동맥관 개존증 (Patent Ductus Arteriosus : PDA)
3. 심실 중격결손 (Ventricular Septal Defect : VSD)
4. 방실 중격결손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 : ASD)
5. Fallot 4징 (Tetralogy of Fallot)
6. 대혈관 전위 (Complete D-transposition of the great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4.10.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심방중격결손 재건술, 다발선 혈관우회술도 가능하다. 심장을 정지시키고 인공심폐기를 사용한다. 수술 후 1~3일 입원한다. 후벽 동맥의 폐쇄, 중증의 죽상경화증, 대동맥류인 경우는 금기이다.
참고문헌
김동환, 김학령 외 3명 / 저 쉽게 풀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