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장이 수축하면 관상동맥도 눌리기 때문에 혈액이 흐르기 어렵다. 그러나 이완할 때는 흐르기 쉽다.
중략
뚝: 제 1 심음 (승모판과 삼첨판이 닫히는 소리)
딱: 제 2 심음 (대동맥판과 폐동맥판이 닫히는 소리)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3.10.3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심장박동량에 분당 심박동수를 곱한 수치이다. 전신 혈관저항은 혈관 내 혈액 흐름에 반대로 작용하는 힘으로 소동맥, 세 동맥의 반경이 전신 혈관저항의 주요 결정인자이다. 이 혈관의 반경이 조금만 변해도 전신 혈관저항이 크게 변한다.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2.08.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심장수축은 더욱
강력하게 많은 피를 박출
너무 많은 피가 심장에 들어와 심근이 지나치게 늘어나면 Starling 법칙의 원칙
도 무시 → 심근의 수축력 감퇴, 심장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함
(3) 기능조절 인자(Function-Contral-Factor)
신경성조절:
- 심박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7.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결정인자, Korean Circulation J(10), 1213-1219.
김승연 외. (2001).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재관류 치료후 관동맥 혈류예비력과 경색심근의 재관류 상태와 수축력과의 관계, vol.9,no.2,p,. 125-132.
조경숙 외(2018). 성인간호학 Seventh Edition. 서울: 현문사.&nbs
|
- 페이지 4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4.09.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결정인자가 아니다. 그 이유는 후부하가 비교적 일정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고혈압 환자에서는, 후부하가 심실의 혈액박출능력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수축기 이후에 심장에 더 많은 혈액이 남게 되어 ESV 증가와 심박출량의 감소를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4.08.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