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97건

정맥을 경유하여 심장으로 되돌아온 적혈구는 좌심방으로 들어온 후 이첨판을 통과하여 좌심실로 들어간다. 좌심실에서 혈액은 압력을 받아 대동맥판을 통과하여 대동맥을 지나 몸 전체로 흘러나간다. 1. 심전도 2. 심장박동의 조절 3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원
  • 등록일 2007.03.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정확성 우측전지(붉은 색 단자) 좌측전지(황, 노란색 단자) 우측 후지(검은 색 단자) 좌측 후지(녹색 단자) # REFERENCE # * 김조자, 노유자, 최영희, 『성인간호학 상(2)』, 현문사, 2000년 * 김조자, 왕명자, 이영자, 전시자 공역, 『심전도』, 현문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9.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정상이다. 그러나 심실 내 전도 장애가 존재하면 비정상일 수 있다. (3) 임상적 의의 ① TypeⅠ2도 방실차단은 보통 일시적이고 가역적이다. ② 증상도 거의 없으며 고도의 방실 차단으로 진전할 수 있기 때문에 심전도 monitoring이 필요하다. ③
  • 페이지 43페이지
  • 가격 4,500원
  • 등록일 2017.1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심실이 독립적으로 탈분극하므로) 2) 종류 (1) 우각블럭(RBBB) 우각이 전도장애: 우심실의 흥분 지연 ECG: QRS에서 R파가 두개(∴좌심실 흥분 후 우심실 흥분) (2) 좌각블럭(LBBB) 좌심실의 흥분지연 간호중재 1) 부정맥 감시, 중재 ECG 감시 활력증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9.0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심실이 독립적으로 탈분극하므로) 2) 종류 (1) 우각블럭(RBBB) 우각이 전도장애 : 우심실의 흥분 지연 ECG : QRS에서 R파가 두개(∴좌심실 흥분 후 우심실 흥분) (2) 좌각블럭(LBBB) 좌심실의 흥분지연 6. 간호중재 1) 부정맥 감시, 중재 ECG 감시 활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06.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