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폐소생술을 요하는 상태로 epinephrine과 atropine 등을 함께 투여해야 하며 이미 사용하던 adrenergic 약물은 말초혈관 확장을 일으켜서 관상동맥 순환을 감소시키므로 중단하는 것이 좋다. 계속적인 심폐소생술에 반응이 없으면 심박조율기장치
|
- 페이지 4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6.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심폐소생술에 쓰이는 약물
1. Adenosin
2. Atropine
3. Bretylium
4. Calcium chloride
5. Diltiazem(Cardizem)
6. Dopamin(Intropin, Dopastat)
7. Epinephrine(Adrenalin)
8. Isoproterenol(Isoprel)
9. Lidocaine(Xylocaine)
10. Nitroglycerin(Tridil)
11. Procainamide(Pronestyl)
12. Propranolol(In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0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심폐소생을 시행하면서 기 관내 삽관 및 정맥로 확보를 수행하며 에피네프린을 투여한 후 1분 내에 다시 제세동을 시도한다.
6>심폐소생술에 이용되는 약물
약물명
투여시기
투여량
최대 투여량
Epinephrine
3-5분간격으로 반복
0.01 mg/kg
제한 없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1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응급의학실 // 군자출판사
first aid and CPR 응급처치와 심폐소생술 // 황정연, 강경희, 이승한 //한미의학
영.유아를 위한 응급처치 // michell j einzing // 양서원
눈으로보는 응급처치법 //홍창의, 김정례 // 팬더-북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심폐소생술은 환자가 심장마비. 즉, 심장의 수축이 멈춘 상태인 심정지일때,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서 심폐소생술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알았다.
환자에게 심장마비가 왔다고 의심되거나 진단을 명확히 내릴 수 없을 때는 즉시 심폐소생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