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에서는 스모 외에 일부 마쓰리에서도 사용한다. 선수가 서로 붙잡기 위해 사용되는 수단으로 한국의 씨름에서 사용되는 샅바에 비견된다.
도리쿠미(取組)
스모 경기의 한 시합을 이르는 말이다. 도리쿠미는 승/패의 계산, 중요하거나 주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Ⅰ. 서론
Ⅱ. 본론
1. 스모의 기원
2. 스모의 유래와 역사
3. 스모의 용어 설명
4. 스모의 개최시기 및 장소
5. 스모의 순위
6. 스모 선수의 자격 및 생활
7. 스모의 진행순서
8. 스모와 씨름의 민족성으로서의 비교
9. 스모의 국제화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3.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스모의 유래와 역사
3. 스모의 의식
4. 경기 방법.
5. 경기장과 심판
6. 스모의 기술
7. 스모의 개최시기 및 명칭
8. 스모의 순위
9. 스모오 선수들의 일생
10. 스모와 씨름의 차이점
11. 스모의 문화적 특성과 스모의 국제화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0.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화세계를 형성하고 있다. 즉 스모는 한마디로 일본 문화의 집약이라고 할 수 있으며 바로 이점이 외국인에게도 흥미를 유발 시키는 요인이다.
우리가 본받아야 할점: 스모는 전통을 살림으로써 세계적 주목을 끌고 있다. 이에반해 씨름은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8.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본 스모협회가 총 70수로 정리했다. 70수란 샅바 즉, 마와시(廻し)를 잡고 끌어당기거나 좌우로 젖히는 기술, 안쪽 혹은 바깥쪽으로 다리를 걸어서 넘어뜨리는 기술, 허리로 젖히는 기술, 어깨로 떠올려서 뒤로 넘기는 기술, 머리로 가슴을 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