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악서
3. 왕립음악기관의 활동 범위
제 3절 고려의 향악기와 향악
1. 고려시대의 향악기
2. 고려시대의 향악
제 4절 고려의 당악과 당악기
1. 고려의 당악과 당악정재
2. 고려의 당악기와 송의 교방악사
제 5절 대성아악의 등장과 그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7.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아악서(雅樂署)에도 각기 1질씩을 수장하도록 하소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
세종 31권 8년 1월 10일 (을사) 003 / 명나라에서 새로 보내온 소관을 헌가에 사용하라는 박연의 청을 따르다.
세종 32권 8년 4월 25일 (무자) 001 / 조정에서 제향할 때 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6.0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아악서 등을 거쳐 현재 국립국악원에 이르기까지 1,600여년의 역사를 가진 세계 유일의 국립음악기관이다.
예술의 전당 옆에 자리한 국립국악원은 국내 최대 의 국악전용극장인 대극장과 가변객석, 소극장, 놀이마당 등을 갖추고 있으며, 상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13.05.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아악서\'와 \'전악서\'를 설치하고, 약800명을 악사를 두어 음악을 관장, 발전하게 하엿으며, 명나라로 부터 악기도 수입하였다.
■ 세종. 세조 때의 음악
박연에 의하여 아악이 맹사성에 의하여 향악이 정리 되었다. 악기 도감을 설치하여 악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