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수축한계) = w-
w : 처음 반죽한 흙의 부피(㎤)
: 흙의 부피 변화량
흙의 체적변화 : 어떤 함수량에서 수축한계까지 함수량이 감소하였을 때의 체적 변화량을 흙의 마른 체적의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흙의 수축비 : 수축한계 이상의 부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09.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4943에는 노건조시킨 흙을 왁스가 녹은 통에 넣어서 코팅을 한 후 식게 되면 물에 넣어 부피를 측정한다. 그림 3에 의거하여 수축한계를 계산 할 수 있다.
SL =
→ = 수축접시에 흙을 채웠을 때의 초기함수비
→ △ = 변화된 함수비(초기함수비 -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0.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아터버어그한계로 나눌 수 있다. 이번 시험에는아터버그한계중 흑의 액성한계에 한하여 측정이 시행되었다.
흙의 입도 조성에 의한 분류법은 상대적으로 간단할지라도 그것은 전적으로 입도 분포에 근거를 두고 있다. 세립토에 존재하는 점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7.01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흙의 분류
○ 통일분류법
○ AASHTO 분류법 정의
○ 입도분석
○ 체분석
◎ 아터버그의 한계
◎ 액성한계
◎ 소성한계
◎ 수축한계
◎소성지수 (PI, plasticity index) = LL - PL
◎수축지수 (SI, Shrinkage index) = PL - SL
◎액성지수 (LI, liquidity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계시험
낙하높이의 차이에 따른 오차
- 시험의 제한조건은 낙하높이가 1cm이나 실제 낙하 높이는 1cm와 차이를 줄일 것이다. 이는 에너지의 차이이므로 시험의 오차로 작용할 것이다.
황동접시의 이물질이나 시료에 공기가 함유되었을 경우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08.10.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