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여량, 잔량을 반드시 확인하여 인수인계 하여야 하며, 착오가 발생하면 보고하여야 한다. 모든 마약류의 잔량은 반납을 하여야 하며 주사기에 재어진 것이나 앰플 입구를 막은 것들 모두를 비닐봉투에 넣고 환자 등록번호, 이름, 약명, 잔량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투약 오류 및 근접 오류 보고서 작성을 편리화한다.
② 유사약품 혼돈 오류 개선활동을 시행한다.
③ 다빈도 약물 매뉴얼과 약품 정보지를 제작한다.
3) 복잡한 투여환경 개선
목표 : 복잡한 투여환경을 개선하고 동선을 단축시켜 업무의 효율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4.0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약물에 대해 약명과 제형, 적응증, 부작용, 투약 시 주의점, 간호수행
(1) Heparin
(2) KCl
(3) Insulin
(4) Morphine
(5) Pethidine
(6) Dopamine, Dobutamine
(7) Aminophylline
(8) Furosemide
(9) Digoxin
(10) Mannitol
(11) Warfarin
Ⅱ. 투약오류와 관련된 환자안전사건 사례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8.06.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약물을 충분히 희석해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간호사는 미숙아와 고위험 영아에게 약물을 투여할 때는 매우 주의를 기울여야하며 간호사, 의사, 약사는 신생아 중환자실 환경에서 투약 오류를 제거하기 위해 협동적인 전략을 수행해야 한다.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7.03.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투약오류라는 것도 줄어갈 것 같습니다. 1. 사례
Ⅰ. 신생아 세균 감염, 수액 · 약물 오염사고로 사망
1) 시트로박터 프룬디균
2) 시트로박터균에 의한 감염
3) 사고원인 분석
Ⅱ. 15세 환자 약물 과다 숨지게 한 정신병원
1) 클로르프로마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3.05.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