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홍장 또한 서양의 장기(長技)는 대포와 배 만드는 기술이고 제도와 문물은 중국이 뒤떨어지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양무파의 지도사상은 즉 양무운동의 기본 강령은 ‘中學爲體와 西學爲用’이었다. 이러한 사상을 처음으로 제기한 인물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09.09.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양무운동’ 초기의 추진자가 되었다. 증국번의 제자
이홍장은 1823년 태어나 태평천국운동을 토벌한 공으로 조정에 등용됐고 증국번 사후 한족계를 대표하는 북양대신이 돼 군권을 손에 쥐었다. 이후 그는 정치체제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군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11.1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홍장, 장지동 등에 의해서 텐진, 광동에 설립되었다.
Ⅴ. 양무운동의 결과
파벌간에 대립하던 그 당시에 구 질서 유지라는 명제하에 담합할 수 있었던 양무파와 수구파 관료들은 양무운동의 중점적인 정책이었던 부국 강병책이 청·일전쟁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홍장 등 한인관료를 중용하여 군수공업을 중심으로 서양의 것을 받아들여 근대화를 추진하니(이른바 \'중체서용\') 이것을 양무운동혹은 \'동치중흥\'이라고 한다. 증국번 이홍장 등은 청조의 협조하에 소속군대의 근대화에서 시작하여 군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운동의 지도자에 물려주었다. 그러나 이 양무운동이 중국 자본주의 발달의 싹이 되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참고문헌
신승하·장의식·유장근 : 19세기 중국사회, 신서원, 2000
신성곤·윤혜영 :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서해문집, 2004
신채식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