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忖度之. } 夫子之謂也. 夫我乃行之, 反而求之, 不得吾心. 夫子言之, 於我心有戚戚焉. 此心之所以合於王者, 何也? ]
詩小雅巧言之篇. 戚戚, 心動貌. 王因孟子之言, 而前日之心復萌, 乃知此心不從外得, 然猶未知所以反其本而推之也.
曰: [有復於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03.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왕치기 죄인불노 방복세지팔백년 개불기살인 방수구원
bu nu 不 亦作“ 不帑 ”。不罪人的妻子女
맹자 양혜왕(梁惠王)장구(章句) “(주 문왕은) 벼슬한 사람에게는 녹봉을 대대로 주었고, 관문과 시장에서 살폈지만 징세하지 않았고, 연못에
|
- 페이지 66페이지
- 가격 12,000원
- 등록일 2017.0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왕에 이르기까지가 5백여 년이니 우와 고요는 직접 보고서 알았고 탕왕은 들어서 아셨다.”
탕왕으로부터 문왕에 이르기까지가 5백여 년이니 이윤과 내주는 직접 보고서 알았고 문왕은 들어서 아셨다.
문왕으로부터 공자에 이르기까지가 5백
|
- 페이지 13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6.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平和愛護 生命尊重(평화애호 생명존중) (양혜왕 상 제6장 )
맹자께서 양양왕을 보시고, 나와서 사람들에게 말씀하시기를 \"그를 보니 임금 같지 않고, 곁에 가까이 가봐도 두려워 할 데가 보이지 않더니, 갑자기 묻기를 \'천하는 어떻게 정해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5.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양혜왕(梁惠王)은 맹자(孟子)에게 다음과 같이 말한 적이 있다..「황하(黃河) 서쪽에 가뭄이 들면 백성들을 황하 동쪽으로 이주시키면서 양식을 가뭄 지역으로 수송했다. 황하 동쪽에 가뭄이 들어도 역시 마찬가지 방법을 사용했다.」 양혜왕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