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락한 인간은 죄를 짓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나중에 하나님 나라에 들어간 이후에 인간은 죄 짓는 것이 불가능해질 것이다. 비록 타락했으나 은혜 아래서 우리는 죄를 안 짓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어거스틴에 따르면 성도들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간성이 정신적으로나 육적으로나 심하게 악화되고 부패되었다. 어거스틴의 소위 전적타락(全的墮落)이라는 교리, 즉 인간에게는 하나님의 형상이 완전히 말소되었다는 것을 가르치고 있지 않다고 말 할 수도 있다. 아무리 심한 타락을 했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거스틴)와 죄의 본질
어거스틴은 펠라기우스에 맞서 죄론을 전개하였다. 어거스틴은 자유가 인간의 본질적인 또는 근원적인 특성이라는 점에서는 펠라기우스나 철학일반과 일치한다. 아담이 타락했을 때도 그는 자유였다. 본디 인간의 자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5.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거스틴의 의견에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제롬은 은초이 구원에 불가결하다는 것은 인정하였으나, 하나님 의 은총이 불가항력적이라는 생각은 없었고, 인간의 의지가 회심에 한 몫의 역할을 담당한다고 생각했고, 빈센트는 은총과 예정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타락 이후의 인간의 상태를 자연적 능력(Natural Ability)과 영적 무능력(Moral, Spiritual Inability)의 개념으로 구분하여 설명하려 하였다. 인간의 의지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고, 인간의 의지는 중립적이지만 그 의지를 사용하는 인간의 주체인 마음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3.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