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어 어미의 특징, 국어 어미의 모음조화, 국어 의문어미, 국어 약속어미, 국어 연결어미, 국어 명령어미, 국어 부사형어미 분석
Ⅰ. 국어 어미의 특징
Ⅱ. 국어 어미의 모음조화
Ⅲ. 국어 의문어미
1. 중세 국어 의문어미의 특징
2. 근대 국어 의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사형어미 \'아x\'의 모음조화를 중심으로,\" 『진단학보』73.
______(1992b), \"경상남북도간의 방언분화 연구\", 『애산학보』13.
______(1994), \"경상도의 방언구획 시론,\"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한국정신문화연구원(1980), <韓國方言調査質
|
- 페이지 51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5.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어미와 결합되면 음장은 상실된다.
(2) 생성문법가 : 생성음운론에 기울어진 사람들은 추상적인 기저음운을 설정함으로써 전통적인 불규칙활용을 규칙활용으로 해석하고 있다.
① 김진우 : 불규칙용언의 \'\'의 음가를 무성음 /s/로 보고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미가 선택된다.
- 있어 (단순 사실)
- 있지 (사실을 분명히 알고 있거나 확신할 경우)
- 있네 (직접 관찰을 통하여 처음 알게된 사실)
- 있구나 (직접 관찰 없이도 사용, 불확실한 정보일 때도 사용)
- 있겠어, 있는 모양이야. 있는 것 같아. 있을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7.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음체계의 변천
2. 모음체계의 변천
3. 음소 연결 방식의 변천
Ⅶ. 중세국어(중세한국어)의 커니와 표기
Ⅷ. 중세국어(중세한국어)의 ㄱ탈락
1. 곡용에서의 ㄱ탈락
2. 활용에서의 ㄱ탈락
Ⅸ. 중세국어(중세한국어)와 언간
참고문헌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