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접두사 不, 否, 非, 沒, 未 등과 순 한글 접두사 \'선-, 설-\' 등이 단어 앞에 붙어 부정하는 방법이다.
12) a 그 일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b 나는 아직 미혼이다.
c 그 과일은 설익었다. 1.통사적 부정
2.어휘적 부정
3.파생적 부정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2.05.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명사
3. 관형사
Ⅳ. 담화표지의 부정사
1. 부정사 ‘안’과 담화표지 ‘아니’
2. 담화표지 ‘아니’의 기능
Ⅴ. 담화표지의 문법화
1. 담화표지되기와 문법화
2. 단어의 담화표지되기
3. 구의 담화표지되기
Ⅵ. 결론
참고문헌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8.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휘적 차원의 표현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 유구종(2008), 유아교육과정과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 적용에 있어서 디지털 기기 활용,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한은경(2011), 멀티미디어 동화듣기 활동이 창의성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휘적 명사화, 통사적 명사화
2.어휘적 명사화와 통사적 명사화
2.1 어휘적 명사화
2.1-1 어휘적 명사화란?
2.1-2 전성념사
2.2통사적 명사화
2.2-1 ‘-음’,‘-기’
2.2-2 ‘-아/어, -게, -지, -고…’-역사적 기원에 의한 확대‧진전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휘적 차이
2-5. 화용적 차이
1) 정중어법의 사용
2) 협동적 대화
3) 감탄과 찬사의 사용
3. 맺음말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2-1. 일반적 차이
2-2. 음성적 차이
2-3. 문법적 차이
2-4. 어휘적 차이
2-5. 화용적 차이
1) 정중어법의 사용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0.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