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값을 주었으면 좋겠다. 책 자체도 너무 일관성이 없는 것 같다. 공통 베이스 및 에미터 플로워 트랜지스터 증폭기
1. 실험 목적
2. 이론
3. 실험 방법 및 결과값
4. 실험 순서 및 예상 결과값
5. 실험 결과 (실제 측정치)
6. 고찰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5.04.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에미터 플로워의 복습 및 실습이라 생각하고 실험에 임했다. 실험에서는 2N2102를 사용하라고 했는데 기자재 부족으로 C2120을 사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이론에서 배운적이 없던 전력이득을 구하는 실험이었는데 전류이득이 곧 전력이득이기 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 왜곡된 결과가 나왔다고 볼 수 있다. 오실로스코프의 출력파형에서도 아래쪽이 왜곡되어 나와있다.
그래서 RMS값으로 비교 했을 때 값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피크치로 비교해본다면 입력 피크가 약 70mV 출력 피크가 8.56V로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9.05.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에미터 전압은 통과 시킨다.
- 이러한 이유로 최종적인 부하전압은 순수한 교류전압이 된다 .
증폭단의 입력임피던스는 바이어스 저항과 베이스의 입력임피던스를 결합시킨 것이된다.
이 임피던스는 매우 높으며 이것이 에미터 플로워의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트랜지스터는 β가 ∞인데 이 경우 위 회로는 전혀 동작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위 회로는 좋지 않은 회로이다.
E2.2 베이스-에미터 고정전압 바이어싱
목표 : 고정-전압 바이어스 디자인의 문제점을 실제로 실험해본다.
그림 4.4 결함 있는 베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0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