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산강유역 정치체의 재편」『한국의 전방후원분』충남대학교출판부.
박순발, 2001, 「영산강유역 전방후원분과 식륜」『한·일고대의 문화교류』국립전주박물관.
박중환, 1997, 「광주·전남지역 장고형고분의 분구에 대하여」『호남고고학
|
- 페이지 3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6.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영산강유역의 이형분구 고분 소고」, 『호남고고학보』5, 호남고고학회.
임영진 2002, 「영산강유역권의 분구묘와 그 전개」, 『호남고고학보』16, 호남고고학회.
조근우 1996, 「전남지방의 석실분 연구」, 『한국상고사학보』21, 한국상고사학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5.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남의 역사 -무등역사연구회 지음- 태학사 1.3세기 후반 영산강 유역
2.마한연맹왕국
3.전남지방의 고분
4.옹관묘(옹관고분)
5.영산강유역의 옹관고분
6.옹관묘에서 출토된 토기
7.5세기말에 중단된 옹관묘
8.석실분의 등장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2.1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영산강유역 고대사회를 지칭하는 이름도 다양하였다. 독자성을 부인하는 입장에서는 '백제'의 일개 지방으로 파악하였는가 하면, 그 독자성을 인정하는 입장에서는 '마한', '모한', 혹은 '왜' 등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1. 머리말
2. 백제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3.10.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남지방에서 전방후원분에 대한 정밀한 측량조사와 발굴조사가 이루어져 한반도 남부에 전방후원분의 존재와 특징이 보다 뚜렷이 밝혀지게 되었다. 전라남도 광주시 월계동(月桂洞) 1호분과 2호분 그리고 명화동(明花洞) 고분, 함평군(咸平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