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한국영화학회, 2005 영화 운동의 10월
1. 혁명 이후의 소비에트 정권
2. 왜 영화인가
3. 소비에트 정부의 영화정책
4. 이념의 전달수단으로서의 영화
5. 소비에트 영화이론과 대표감독
5.1 지가 베르토프(Dziga Vertov)
5.2 레프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3.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Outro
소비에트 영화의 한계와 의미를 다시 생각하며..
.. 계몽과 오락 논쟁
-> 경제적인 측면의 모순
.. 소비에트 영화는 이념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최고의 완성도를 성취했지만
역설적으로 이념 달성은 실패 들어가기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3.23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영화가 세계에 알려진다.
5주차 제1강의
1. 뉴벨바그와 관련 없는 것은? 4번
1)새로운물결 2)프랑스의 젊은 세대 감독의 등장 3)고다르 4)프리시네마
2. 1960년대 새로운 기록영화와 관련 없는 것은? 3번
1)시네마베리떼 2)다이렉트시네마 3)베르토프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4.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영화 속의 참여자임을 공언한다.
다이렉트 시네마 감독은 상황에 개입하지 않는 관찰자가 되려고 하지만, 시네마 베리떼 사람들은 선동자가 되려고 한다. 다이렉트 시네마는 카메라가 접근할 수 있는 사건들 속에서 진실을 구축한다. 하지만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5.1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베르토프와 구성주의 미술
< 카메라를 든 사나이 >
지가 베르토프(1896 - 1954)《영화촬영기를 든 사나이》
5. 에이젠 스타인
※ 프랑스의 예술영화
3. 인상주의 영화 1918~ 1929
<개요>
1. 특징
2. 형식적특성
3. 배경
* 공장을 나서는 사람들 (루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8.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