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능 프로그램은 다른 성격의 프로그램과는 달리 경어법 사용에 있어서 유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하였다. 보도 프로그램이나 교양 프로그램이 비교적 격식체를 사용하는 반면에 예능 프로그램은 이러한 규약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0.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대경어법과 조화를 이루어야 할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그런데 여기서 지적하고자 하는 것은 이들과 6등급이 고정적으로 어울리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6) a. 김 과장, 나 좀 봐.
b. 김 군, 나 좀 봐.
(7) a. 김 과장, 나 좀 봐.
b. 김 군, 나 좀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3.1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연구』, 역락, 1999.
박갑수,『한국 방송언어론』, 집문당, 1996.
방송위원회,「방송언어 사용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2002.
방송위원회,「방송 언어 조사 자료집」, 2005.
손범규,「방송언어의 상대경어법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7.
신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0.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범주
ex) 이번에는 꼭 이기고야 말겠다. - 의지 및 능력을 나타내는 ‘-겠-’
㉢ 주체경어법 실현
ex) 어느 분이 너의 담임선생님이시니? - 경어법의 ‘-시/으시-’
② 어말 어미의 기능
㉠ 상대경어법을 결정해준다. (청자를 어느 정도로 예우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대경어법이란 말을 듣는 相對方을 언어적으로 알맞게 대접하는 체계로서 흔히 ‘해라체, 반말체, 하게체, 하오체, 해요체, 합쇼체’의 여섯 등급으로 나눈다.
둘. 문말어미는 문장의 종류를 결정짓는 일을 한다.
Ⅱ. 국어 명사형어미
명사형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