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절
2. 상차림
3. 한국의 전통 다례
Ⅶ. 예절지도(예절교육) 기타예절교육
1. 바람직한 소개 예절
1) 자신을 소개할 때
2) 다른 사람을 소개할 때
3) 첫인사를 할 때
2. 예절 바른 초대
1) 초대할 때
2) 초청장 발송
3) 상?하석의 기준
3. 예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예절의 목적
(가) 자기관리: 스스로 삼가함 -양심-
(나) 대인관계: 남을 편안하게 -사랑-
(4) 예절의 실제와 격식
(가) 실제: 의사(마음)
(나) 격식: 의사소통(행동)
나. 우리의 전통예절
(1) 예절의 방위(동서남북)
(2) 북쪽의 기준
(3) 상하석의 기준
(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예절
1. 초대장 발송 - 知單
2. 출입하는 입구에서 가까운 곳이 하석, 먼 곳이 상석이며 주빈은 상석, 주인은 입구에 앉는다.
3. 수건을 무릎 위에 펼쳐 놓는다. (냅킨, 식탁보를 사용하지 않음)
4. 초대장에는 주빈을 맨 위에 적고 초대하는 사람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8.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예절에서 방위는 중요한데 자연의 동서남북과 관계없이 예절을 하는 장소에서 제일 윗자리(상석)가 북쪽이고 상석의 앞이 남이며 왼쪽이 동이고 오른쪽이 서쪽이 된다.
그 이유는 상석에 웃어른이 앉아야 하는데 언제든지 웃어른은 남향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08.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의 연하자.
. 남자의 큰절 - 계수배(稽首拜)
. 남자의 평절 - 돈수배(頓首拜)
. 남자의 반절 - 공수배(控首拜)
. 여자의 큰절 - 숙배(肅拜)
. 여자의 평절 - 평배(平拜)
. 여자의 반절 - 반배(半拜)
Ⅵ. 인사예절(인사예의)과 악수
1. 악수의 의미
악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