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언절구 >
1. 측기격 측성운
2. 측기격 측성운 (1구에도 운자가 있는 것)
3. 평기격 측성운
4. 평기격 측성운 (1구에도 운자가 있는 것)
< 칠언절구 >
1.평기격 측성운
2.평기격 측성운 (1구에도 운자가 있는것)
3. 측기격 측성운
4. 측기격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6.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나무와 열매를 먹이로 한다는 대나무를 심었다. 48영 중 37영은 동대 주변의 분위기를 노래하였다.
37. 桐臺夏陰 (동대하음) -오동나무대에 드리운 여름 그늘
巖崖承老幹 (암애승노간) 바위 비탈 받아 선 늙은 줄기
雨露長淸陰 (우로장청음) 비와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3.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오언절구 ⇒ 古絶
- 시어가 간단하다. 간략하지만 여운이 남는다.
⇒ 백묘법(白描法): 동양화 그릴 때 먹으로 선만 그리는 것./ 문학에서는 수사없이 간략하게 서술한 것.
- 古詩
: 양한시대부터 지음.
: 위진남북조에 많이 지음.
: 오언,칠언절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1.04.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절구(七言絶句) 한시
내 용 : 시인의 눈에는 눈이 와서 온 천지가 흰 것이 마치 천황씨나 지황씨의 죽음으로 상복을 입은 듯이 보인다. 내일 만일 그 소식 듣고 태양이 조문 오면 집집마다 처마에서 천황씨와 인황씨를 위해 한없이 눈물을 흘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12.04.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오언절구, 오언율시, 칠언절구, 칠언율시를 각 한 편씩 선택하여 한시 감상법에 의해 감상하시오.
Ⅰ. 들어가며
Ⅱ. 한시 감상법
1. 한시의 개념
1) 한시의 정의
2) 한시의 특성
2. 한시의 유형
1) 고체시(古體詩)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4.09.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