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왕산악과 백결선생 * 시대별 분석
·238 - 음악의 용도 (제사)
·551 - 우륵과 가야금
·552 - 신라의 음악교육
·576 - 음악의 용도2/ 음악의 필요성
·650 - 음악의 용도3 (불교)
·664 - 당악의 유입
·741 - 음악교육기관명의 변화
·790 - 향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09.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왕산악 거문고
백 제 - 일본 음악에 가장 커다란 영향
신 라 - 우륵에 가야금, 백결선생 방아타령, 3죽·3현 유명
② 고려시대
향악 - 민중의 노래 = 동동, 대동강
아악 - 궁중 음악 송의 대성악이 우리 나라 아악으로 발전
③ 조선시대
박연「아악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백결선생(신라), 왕산악(고구려), 우륵(가야) 발해문학:다듬이소리(양태사)
일본
-고구려: 담징(종이와 먹 제조방법, 호류사 금당벽화)
혜자(쇼토쿠 태자 스승), 타카마스 고분벽화(수산리 벽화의 영향)
혜관(일본 삼론종의 시조)
백제: 아직기
|
- 페이지 71페이지
- 가격 4,500원
- 등록일 2018.08.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왕산악의 거문고 제작
② 백 제 : 일본 음악에 영향
③ 신 라 : 3죽과 3현이 유명하고 우륵의 가야금, 백결선생의 방아타령
제4절 우리 문화의 일본 전파
1. 선사 문화의 일본 전파
시 대
내 용
구석기 시대
육지로 연결되어 우리 문화가 그대로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6.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석등
통일 신라 - 석굴암 본존불, 무열왕릉비 받침돌, 상원사 종+성덕 대왕 신종, 천마도(천마총 출토)
고구려 - 왕산악(거문고), 유리왕(황조가), 을지문덕(여수장우중문시)
신라 - 백결 선생(방아타령)+우륵(가야금), 월명사(제망매가)
발해 -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6.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