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
Ⅲ.결론(결과)
이로써 전후 7년간의 왜란은 끝났으나 이 전쟁이 조선. 명. 일본등 삼국에 미친영향은 대단히 컸으며 특히 싸움터였던 조선은 국토 황폐화와 난 을 계기로 완전히 붕괴되어 경제적 파탄과 관료기구의 부패로 나타났다. 전화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3.08.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발전[2]」, 『한국사8』, 강만길 외, 한길사, 1994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박영규 저, 들녘, 1996
사진 출처(비격진천뢰, 화차) - http://www.bgs.hs.kr/pusan/임란/imaa_4.html
그림 출처(왜란의 영향) - http://www.bgs.hs.kr/pusan/임란/imaa_6.html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5.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왜란과 한중관계>>. 서울: 역사비평사, 1999.
Hawley, Samuel J.. The Imjin War: Japan's sixteenth-century invasion of Korea and attempt to conquer China. Berkley: Institute of East Asian Studies, 2005.
논문
계승범. <임진왜란과 누르하치>. <<임진왜란 - 동아시아 삼국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9.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왜란은 끝났으나 이 전쟁이 조선·명·일본 등 삼국에 미친 영향은 대단히 컸다. 조선은 연산군 이후 문란하기 시작한 사회가 난을 계기로 완전히 붕괴되어 경제적 파탄과 관료 기구의 부패로 나타났다. 戰禍에 따른 인명의 손상은 말할 것도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3.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삼국의 근대화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법정 논총>> 10. 국민대. 1988.
박일근 <중국의 개국: 정치사적 과정과 한·일 양국에 미친 영향>. <<동북아>>. 1995.
유장근. <근대 중국에 있어서 전통사상과 반침략운동>. <<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