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전[2]」, 『한국사8』, 강만길 외, 한길사, 1994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박영규 저, 들녘, 1996
사진 출처(비격진천뢰, 화차) - http://www.bgs.hs.kr/pusan/임란/imaa_4.html
그림 출처(왜란의 영향) - http://www.bgs.hs.kr/pusan/임란/imaa_6.html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5.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임진왜란이 가진 성격을 잘 보여준다. 따라서 임진왜란을 동아시아 3국의 국제전으로 인식한 후, 그 속에서 明이 입은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전쟁의 발발 시기가 아시아 정세 급변 시기와 일치한다는 점에서도 그 의미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9.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영향도 끼치지 못했다고 섣불리 단정 지을 수는 없다.
4. 맺음말
임진왜란사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한 것은 일제의 한반도 식민지화와 때를 같이한 1910년대의 일이다. 주로 일본 관학자들에 의해 주도된 이 분야의 연구는 이께우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군의 출병이 불가피하였다고 후금을 설득하여 후금과 평화 관계를 유지하려 노력하였다. 1 임진왜란의 발발
2 수군과 의병의 활약
3 전란의 극복
4 임진왜란의 영향
5 광해군의 중립 외교
6 병자호란의 발발
7 북벌 운동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00원
- 등록일 2016.10.12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에 관계된 모든 국가에 대한 상호인식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며, 그 상호인식이 두 전쟁에 끼친 영향에 대해서 조사해보았다.
필자가 생각했을 때, 임진왜란은 명이 일본에 가진 인식이 나빴고 이는 전쟁의 향방에 큰 영향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1.09.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