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Ι. 서론
Ⅱ. 본론
1. 한중일 상호인식의 흐름이 왜란에 미친 영향
1) 조선-명의 상호인식
2) 조선-일본의 상호인식
3) 명나라-일본의 상호인식
2. 조선, 명, 청의 상호인식이 호란에 미친 영향
1) 명나라에 대한 조선의 인식
2) 조선에 대한 명나라의 인식
3) 조선에 대한 청나라의 인식
4) 명에 대한 청나라의 인식
Ⅲ. 맺음말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한중일 상호인식의 흐름이 왜란에 미친 영향
1) 조선-명의 상호인식
2) 조선-일본의 상호인식
3) 명나라-일본의 상호인식
2. 조선, 명, 청의 상호인식이 호란에 미친 영향
1) 명나라에 대한 조선의 인식
2) 조선에 대한 명나라의 인식
3) 조선에 대한 청나라의 인식
4) 명에 대한 청나라의 인식
Ⅲ. 맺음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병도 와해되어 수성위주의 전략을 취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후금은 너무나 잘 알고 있었다. 물론, 영원성 전투에서 후금군은 상당한 피해를 입고 누르하치마저 그 후유증으로 인해 사망하는 등 상황이 결코 좋다고 볼 수는 없었다.
홍타이지는 명나라가 밖에 나올 수 없다는 것을 확신하고 있었음으로 대군을 휘몰아 조선을 급습하였고 그 결과 조선은 꼼짝없이 당할 수밖에 없었다. 청나라가 대부분의 산성을 무시하고 남하한 것을 보고 “배후의 명나라가 건재해서 그랬다”라 판단하기도 하지만, 큰 피해없이 단숨에 조선을 굴복시키려고 한 것이었다. 실제로 점령전 수준의 공격은 하지 않고 남한산성 내에 있는 군량이 떨어질 때까지 기다리는 모습을 보인다.
Ⅲ. 맺음말
지금까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에 관계된 모든 국가에 대한 상호인식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며, 그 상호인식이 두 전쟁에 끼친 영향에 대해서 조사해보았다.
필자가 생각했을 때, 임진왜란은 명이 일본에 가진 인식이 나빴고 이는 전쟁의 향방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한다. 물론 이외에도 명이 조선의 충성심을 높게 보았기 때문에, 파병한 것도 있겠지만 말이다.
임진왜란 이후 조선 사대부에게 형성된 재조지은이 호란의 발생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한다. 호란이 일어난 후, 후금에 패배할 위기에 놓여있으면서도 사대vs척화로 나뉘어 싸운 것만 봐도 명에 대한 조선 사대부의 인식이 어떠하였는지를 알 수 있다.
Ⅳ. 참고문헌
한명기, 2020,「조선시대 韓中日 관계와 相互認識의 추이」.
한명기, 2008, 「난동, 정벌, 원조를 넘어 - 임진왜란을 부르는 동아시아 공통의 용어를 위하여」.
홍타이지는 명나라가 밖에 나올 수 없다는 것을 확신하고 있었음으로 대군을 휘몰아 조선을 급습하였고 그 결과 조선은 꼼짝없이 당할 수밖에 없었다. 청나라가 대부분의 산성을 무시하고 남하한 것을 보고 “배후의 명나라가 건재해서 그랬다”라 판단하기도 하지만, 큰 피해없이 단숨에 조선을 굴복시키려고 한 것이었다. 실제로 점령전 수준의 공격은 하지 않고 남한산성 내에 있는 군량이 떨어질 때까지 기다리는 모습을 보인다.
Ⅲ. 맺음말
지금까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에 관계된 모든 국가에 대한 상호인식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며, 그 상호인식이 두 전쟁에 끼친 영향에 대해서 조사해보았다.
필자가 생각했을 때, 임진왜란은 명이 일본에 가진 인식이 나빴고 이는 전쟁의 향방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한다. 물론 이외에도 명이 조선의 충성심을 높게 보았기 때문에, 파병한 것도 있겠지만 말이다.
임진왜란 이후 조선 사대부에게 형성된 재조지은이 호란의 발생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한다. 호란이 일어난 후, 후금에 패배할 위기에 놓여있으면서도 사대vs척화로 나뉘어 싸운 것만 봐도 명에 대한 조선 사대부의 인식이 어떠하였는지를 알 수 있다.
Ⅳ. 참고문헌
한명기, 2020,「조선시대 韓中日 관계와 相互認識의 추이」.
한명기, 2008, 「난동, 정벌, 원조를 넘어 - 임진왜란을 부르는 동아시아 공통의 용어를 위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