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왜적의 토벌, 단발령 등 일본에 의해 강요된 개혁의 거부, 매국적 친일분자의 처단을 천명하였다. 그래서 친일내각의 김홍집 등이 살해되고 개화세력이 주도한 개혁이 중단되었으며 특히 임금의 해산명령이 내리자 왕명을 따르지 않을 수 없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9.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왜적들은 뭍으로 올라가 산으로 도망 갔다. 그리하여
왜놈들의 배와 여러 잡된 물건을 빼앗아 도독(유 정)에게 바쳤다.
9월 22일 [양력 10월 21일]<갑진> 맑다.
아침에 진군하여 나갔다 들어갔다 하면서 싸웠는데, 유격(마귀) 이 어깨에 적탄
|
- 페이지 247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1.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왜적이 물러가고 안 가고를 막론하고 모두 수군(水軍)을 중시해야 한다. 왜적이 물러가지 않으면 적을 막아 길을 끊는 형세가 있을 것이고, 왜적이 물러가도 육지 방비는 수년간 조치할 수 없어서 반드시 수군(水軍)으로 해구(海口)를 가로 막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4.10.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왜적의 침입을 막고 있을 때 지은 전쟁가사이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이지만, 전쟁의 아픔과 왜적에 대한 적개심이 가라앉지 않은 때 지어졌다. 임진왜란 때 직접 전란에 참여한 작자가 왜적의 침입으로 인한 민족의 수난을 뼈져리게 되새기며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4.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왜적이 아무런 명분 없이 조선을 침략한 전쟁으로 조선에 막대한 물질적 피해와 정신적 충격을 주었다. 그로인해 조선인들은 왜적에 대한 반감을 가지게 되었고 이러한 감정을 작품에 나타내었다. 최현 역시 조선인의 한사람으로써 이러한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