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행정제도의 성격, 이수건, 東洋學, p1-2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선의 건국과 지방통치체제
Ⅲ. 지방통치에 대한 중앙의 체제 (외관직)
Ⅳ. 지방통치에 있어서 지방세력 (재지세력과 서원)
Ⅴ. 맺음말
Ⅵ. 참고문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7.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외관직·토관직(土官職)·경아전(京衙前)·취재(取才)·천거·제과(諸科)·제수(除授)·한품서용(限品敍用)·고신(告身)·서경(署經)·정안(政案)·해유(解由)·포폄(褒貶)·고과(考課)·녹패(祿牌)·차정(差定)·체아(遞兒)·노인직·추증·증시(贈諡)·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8,400원
- 등록일 2013.05.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외관직 - 8도(관찰사)--- 목[ ]┼── ( 면 - 리 - 통 )
(지방) 군[ ]┤
현[ ]┘
|
[ ] ─ [ ] : 수령의 행정실무 보좌
경재소 : 유향소 통제 ↔ 유향소 : 향촌 양반의 자치조직
2. 군역 제도와 군사 조직
⑴ 원칙 : ( ) - 16~60세의 모든 양인 남자는 군역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9.08.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외관직이다.
두상으로 패강진 일대의 장관을 역임했으나 이 장관직 역시 6두품이 오를 수 있는 최고직이니 그 가문이 진골이 아닌 6두품화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거기에, 김유신의 행록을 기록한 김장청 역시 집사랑을 역임했을 뿐이었다.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10.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전기 지방행정제도의 성격, 이수건, 東洋學, p1-2 Ⅰ. 머리말
Ⅱ. 조선의 건국과 지방통치체제
Ⅲ. 지방통치에 대한 중앙의 체제 (외관직)
Ⅳ. 지방통치에 있어서 지방세력 (재지세력과 서원)
Ⅴ. 맺음말
Ⅵ. 참고문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6.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