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조선시대의 운문
1.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정인지(鄭麟趾), 안지(安止), 권제(權)
제 2 장
根深之木 風亦不 有灼其華 有其實
源遠之水 早亦不竭 流斯爲川 于海必達
불·휘기·픈남· ·매아·니:뮐 곶:됴·코 여·름·하·니
:·미·기·픈·므·
|
- 페이지 4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원문 1a
제1권 원문1b
‘서울대 규장각’의 ‘전자정보’에서 ‘용비어천가’
『용가』의 권 6은 41장~49장까지로 구성되어 있다. 권 6의 일부가 소실되다가 남은 판본 중 42, 46, 48장은 극히 일부분의 내용만 볼 수 있고, 49장은 완전히 볼 수 없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5.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1장]
海東(해동) 六龍(육룡)이 샤 일마다 天福(천복)이시니
古聖(고성)이 同符(동부)시니
해동(우리나라)의 여섯 용이 날으시어서, 그 행동하신 일마다 모두 하늘이 내리신 복이시니,
그러므로 옛날의 성인의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4.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비어천가를 훈민정음의 글자스런 성능을 시험키 위해 지어 졌다는 견해는 무엇인가? P273
3. 작품의 역사적 무게로 보아서는 지배층의 문자인 한문으로 쓴 것이 더 옳았을 터인데 왜 훈민정음으로
원문을 삼고 한문 시를 부수적으로 붙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5.1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비어천가> 제43장 분석
1. 언해문과 한자 원문
玄武門 두 도티 사래 마니 希世之事 그려 뵈시니다
玄武兩 一箭俱中 希世之事 寫以示衆 1. 언해문과 한자 원문
2. 관련 고사
3. 국어학적 분석
4. 현대어 풀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2.09.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