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용주사 범종
■ 용주사 대웅보전
■ 용주사 대웅전 후불탱화
■ 용주사 불설부모은중경
■ 용주사 천보루
■ 용주사 회양나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8.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주사는 평탄한 지형을 택하여 여러 단의 낮은 석축으로 대지를 조성하고 중요한 전각들이 대체로 좌우대칭을 이루고 중심부가 되는 대웅전 앞마당은 선당과 승당이 완전한 대칭으로 구성되고 전면의 누각에서 행각이 이어지면서 닫혀지는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0.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주사 대웅전에 남아 있는 〈삼세여래후불탱화〉다. 석가여래와 약사여래, 아미타여래 등을 중앙에 놓고 그 둘레에 가섭과 아난존자, 10보 살, 10대 제자, 사천왕, 동자 등을 배치했다. 이 기법은 단원을 끝으 로 전승되지 않았다. 신윤복도 참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3.10.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웅전(大雄殿)
2. 영산전(靈山殿)과 팔상전(捌相殿)
3. 대적광전(大寂光殿)
4. 극락보전(極樂寶殿)
5. 약사전(藥師殿)
6. 미륵전(彌勒殿)
7. 천불전(千佛殿)
8. 원통전(圓通寶殿)
9. 지장전(地藏殿)
10. 응진전(應眞殿)
11. 조사전(祖師殿)
12.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10.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