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용주사 범종
■ 용주사 대웅보전
■ 용주사 대웅전 후불탱화
■ 용주사 불설부모은중경
■ 용주사 천보루
■ 용주사 회양나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8.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주사를 세우는데 당대 최고의 승려와 각종 기술자를 초빙하고 물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을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김홍도는 대웅보전 의 후불탱을 제작했고 1796년에는《불설부모은중경판》의 변상도를 그리기도 하였다. 또한 절에 소
|
- 페이지 40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4.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웅보전
치 수
비 고
기단크기
30,330mm x 23,700mm
평면크기
24,720mm x 16,170mm
기둥크기
우주0600
평주0510
(전면평주0600 불상쪽 평주0600-앞기둥 2개 없음)
불상쪽 기둥이 평주임에도 불구하고 0600을 사용한 이유는 불상을 가리지 않고 예불 공간을 확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리가 모두 이 문을 통해서 재조명되고, 이 문을 통해서만 진리의 세계인 불국토가 전개된다는 뜻을 담고 있다. 1.개암사
2.개암사 영산회괘불탱 및 초본(開巖寺靈山會掛佛幀-草本)
3. 개암사 대웅보전(開巖寺大雄殿)
4.삼문(三門)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또하나 추가된 셈이다.^^ Ⅰ 강화도 전등사 초입(初入)까지
Ⅱ 전등사, 그 속에 깃든 의미
1. 전등사
2. 대웅보전
3. 범 종
4. 전등사 대조루 (傳燈寺 對潮樓)
5. 법화경판
6. 전등사 약사전
Ⅲ 전등사를 떠나며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2.05.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