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통음식의 상차림
Ⅰ. 일상의 상차림
Ⅱ. 일상식 상차림
1. 반상차림
2. 장국상차림
3. 죽상차림
4. 주안상차림
5. 다과상차림
6. 교자상차림
7. 수라상
Ⅲ. 통과의례 상차림
1. 백일상
2. 돌상
3. 생신상
4. 혼례상
5. 폐백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1.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차림과 예절
우리나라의 상차림은 일상음식이나 의례음식·접대음식에 따라 다르다. 일상음식 상차림은 독상이 기본이고 밥을 주식으로 하는 밥상과 죽상·장국상 등이 있다. 의례음식 상차림은 통과의례라고 하여 출생에서부터 생을 마칠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6.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식이다. 유교는 조선시대의 사상을 지배했던 것으로 유교식 음식의 대표성은 제사상을 들 수가 있다.
각 지역에 따른 음식을 차리는 예법, 가짓수, 조리법 그리고 상차림에 있어서 각기 독특하게 발전되었으며 화려한 색상, 심한 비린내는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8.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차림의 요리내용에 따라 국물 한 가지에 요리가 한 가지이면 1즙 1채라 하며, 1즙, 2채, 1즙 3채, 2즙 5채, 3즙 7채 등으로 구별하며 보통 2즙 5채와 2즙 7채가 많이 쓰인다.
상에 따라 올리는 음식이 다르며 똑같은 맛과 똑같은 종류의 요리를 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03.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식의 발달, 차문화 성행
- 기름에 볶거나 지지는 조리법 등장(유밀과, 약과 등이 생김)
- 떡 종류가 다양하게 발달
- 주막이 생김(외식, 매식 문화 생겨남)
6) 이조시대
- 한식의 완성기
- 유교의 국교화 : 차문화 쇠퇴, 상차림의 격식 완성
- 16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7.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