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산도(于山島)라고도 불림.
돌섬 → 돍섬 → 독섬 →독도 1. 독도에 대하여
2. 독도의 가치
3. 독도 관련 역사적 연표
4. 독도에 관한 일본의 주장과 전략
5. 독도가 우리땅인 역사적 증거
6. 비슷한 국제사례
7. 동북아 지역 영유권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10.28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우산도’는 역시 독도였다”, \'조선일보\', (2007년 12월 4일).
‘태정관 지령문’은 왜 중요한가 - 동아일보, 2006년 11월 20일 기사
“독도는 무가치한 섬” 일본서 폭파 제안 <한겨레>.
독도 문제, 외교통상부
독도에 대한 정부의 기본입장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5.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우산도(독도)와 울릉도를 강원도 울진현에 속한 조선영토임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동(同) 부속지도에서도 울릉도와 우산도를 동해 가운데에 표기하고 있습니다. (팔도총도 ppt제시하며) 다만, 우산도의 위치가 조금 틀리는데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6.03.12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우산도(于山島)·자산도(子山島)·삼봉도(三峰島)·가지도(可支島) 등으로 불려왔으며, 일본에서는 송도(松島)라고 불렀다.
오늘날의 명칭인 [독도](獨島)로 처음 쓰인 것은, 1906년(광무10년) 울릉군수 심흥택(沈興澤)의 [울릉군수보고서]에서 [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우산도라 부르다가 울릉도의 명칭이 정착됨에 따라 그 부속 도서인 독도로 우산도라는 명칭이 이동한다. 이와 같은 지명의 이동은 지역의 개발 방향으로 이전하는 일반적 예다.
4) 안용복의 활약
1690년 안용복이 우산도에 출몰하는 일본인을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3,900원
- 등록일 2019.08.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